범어사소개 >> 소개 및 유래
범어사는 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십찰(華嚴十刹)중의 하나입니다.
신라 흥덕왕 때 중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의상대사 외에도 원효ㆍ표훈ㆍ낙안ㆍ영원ㆍ매학ㆍ묘전스님 등 수많은 고승들을 배출하여 명실상부한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닙니다.
설화에 나타난 왜적을 물리치기 위한 영험담은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왜구를 막고자 하는 신앙적 기원과 사찰의 무력적 기반을 이용하고자 하는 국가의 의도가 결합된 것으로 범어사는 한국적 호국불교의 전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범어사는 지역사회의 종교 중심지로서의 한정된 기능만이 아닌 국가적 차원에서 동해안의 안위(安慰)를 책임지고 있던 국가비보사찰(國家裨補寺刹)의 기능을 가졌던 것입니다. 임진왜란 때는 서산대사가 범어사를 사령부로 삼아 승병활동을 한 것으로 유명하며, 일제강점기 3.1운동 때는 이곳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이 ‘범어사 학림의거’라는 독립만세운동을 일으켰고, 전국에서 사용할 태극기를 범어사 암자에서 만들었습니다. 또한 서울과 동래, 김해 등에 포교당을 세우는 등 불교진흥운동과 근대교육운동에 앞장서기도 했습니다.
일제시대 때 주석하셨던 오성월 스님은 경허, 용성스님을 모시고 수행정진하시면서, 금강암, 내원암, 안양암, 원효암, 대성암, 계명암, 원응정사, 금당선원, 청풍당선원을 개설하시고, 명실상부한 선찰대본산으로의 위상을 세워 호국 사찰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행도량으로서 수많은 도인을 배출하였다는 것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특히, 1950년대 동산스님은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한국근대불교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선불교의 사상적 맥락을 뚜렷이 하였습니다.
2012년에는 금정총림으로 지정, 지유스님을 초대방장으로 추대하였고,
2020년에는 범어사에 소장된 삼국유사 4~5권이 국보 306-4호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산행사진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하늘릿지(양산.금정구.화)2022*08*09 (0) | 2022.08.11 |
---|---|
장산(부산.해운대.토)2022*08*06 (0) | 2022.08.06 |
금정산.하늘릿지(양산.금정구.수)2022*07*27 (0) | 2022.07.27 |
조령산(경북.문경.일)2022*07*17 (0) | 2022.07.25 |
백두대간(버리미기재=이화령.일)2022*07*17 (0) | 2022.07.25 |